[방송] 썰전 - 기상청 오보 논란 본문

카테고리 없음

[방송] 썰전 - 기상청 오보 논란

권희찬 2016. 9. 5. 05:42




지난 1일 방송된 썰전에서는 기상청 오보 논란에 대해 이야기를 썰을 풀었다.


이날 전원책 변호사는 "폭염기준을 물으며 한달동안 평균 33.3도이었음에도 재해로 인정을 안해주고 전기요금 조금 감면하고 생색 냈다며 날선 비판을 시작으로 기상청은 무려 다섯 번 만에 폭염이 끝난 것을 맞췄다"며 포문을 열었다.





이어 일반적으로 평균 1년 내내 맑은 날씨가 70%이기에 내일 맑은 날씨라고 해도 70%로 맞는다. 장마철에는 내일 비온다고 해도 아마 70~80% 맞는 텐데, 우리나라의 기상청 예보를 보면 갈수록 떨어진다고 밝혔다.(사진 참조)



유시민 작가는 기상청 관계자가 오보 논란에 대해 "(오보는) 교통 정체가 심할수록 내비게이션 상의 예상 목적지 도착 시간이 조금씩 뒤로 미뤄지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라고 설명한 발언을 두고, http://www.nocutnews.co.kr/news/4643856   (원문 참조)


"박사급 이상의 전문 인력과 엄청난 국가 예산을 쓰는 국가 기관이 스스로를 내비게이션 수준으로 격하시킨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변은 이에  "중국쪽 고기압이 강해서 폭염이 길어졌는데, 이걸 몰랐다는 게 기상청 설명"이라며 "500억짜리 슈퍼컴퓨터가 있어도 못 맞춘다"고 동의 했다.


이어 기상예보의 중요성을 말하다, 최근 일어났던 지진오보를 소개했다. 재난 상황훈련용 가상 통보문이 기상청 직원 실수로 언론사에 발송되 큰 혼란을 주고도 태연?하게 단순실수라고 해명하는 태도를 취했다며 비판했다.






이밖에도 과거 87년 7월 15일에 태풍 `셀마`가 한국 고흥반도에 상륙해 사망자가 무려 345명에 당시세로 3600억대의 재산 피해를 줬는데, 기상청은 이때 태풍이 빠져가고 있다고 오보했다. 결국 시인했지만 조작발표라는 불명예를 남긴 사건이다.


유작가는 온난화, 엘리뇨 같은 각종 이변으로 기상예측이 갈수록 어렵다는건 인정하지만, 기상청 직원들이 국가기관으로서 최선을 다해도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오류냐? 아니면 직무소홀로 생기는 오류인가?에 대해서 시민들이 의구심을 가진다.




전변은 이때문에 장비를 핑계되서 4차례의 슈퍼컴퓨터를 도입했고, 작년에만 532억의 슈퍼컴퓨터를 구입했다. 그런데 여기에 들어가는 기상자료가 부실하다. 기상 레이더 10대중에 3대가 노후해서 정확한 자료가 산출이 안된다고 한다.


그러나 반대로 말하면 10대중에 7대가 문제가 없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장비가 아닌 사람이 문제라고 한다. 그러자 기상청에서 두번째 핑계로 이번에는 전문인력이 부족하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로 2009년에는 외국의 전문가를 초빙해 2009~2013년까지 4년동안 있었는데, 이분이 떠나니까 오류가 더 많이 늘어나더라.


그러자 유작가는 기상예보도 결국 사람이 중요하다면서, 우리나라 기상청도 우수한 채용을 하지 않냐면 의구심을 나타내자


전변은 "우리나라는 기상 전문가가 있을 수 없는 구조다"며 "순환보직제로 2~3년 마다 자리를 바꿔야 해서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이 드물다"며 현 기상청 편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래서 "기상청의 편제를 바꿔야 한다. 기상예보관을 20년을 하면 기상청장을 할 수 있는 등 보직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기피아(기상청+마피아)의 납품과 비리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돌이겨보면 저때 오죽하면 기상청 예보와는 반대로 우산을 챙기라는 말을 했던 기억이 문득 난다.


사진 속 예측도가 일상적인지는 모르겟지만 55% 이하라는 것은 그야말로 홀짝 수준인데.... 저기에 들어가는 돈은 천문학적.....근데도 20%대...


그래 예측은 누군가의 말대로 콩을 볶을때 그중 어느 콩이 튀어오를줄 모르는 거니까, 그럼 미세먼지 예측이 아닌 측정도 제대로 안되는 이유는 뭘까??



Comments

카테고리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TAG

more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