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花(오얏꽃) 본문
오얏에 관하여 내가 처음으로 들었던 때는 어렸을 적 어머니가 자신의 성씨를 알려주시기를, 오얏 이씨라고 하셨다. 李字(이자)는 오얏 이자이며, 옛 옥편이나 민중서관발행의 한자대자전에서 李字는 ‘오얏 나무 리’ 혹은 ‘성 리’로 되었는데 , 한글사전에는 ‘오얏’을 ‘자두 혹은 자두나무의 잘못’이라고 했다. 여기에 관한 논란이 ‘국어산책 오얏론(論)’에 자세히 나왔는데, 1988년 문교부 규정으로 자두를 표준어로 삼고 오얏이란 단어를 버렸다. 여기 오얏론에 의하면 최근에 와서 오얏과 자두 사이에 논란이 많았다. 오얏은 고대로부터 내려 온 이름 높은 꽃나무였고, 자두는 최근 1920년경에 서양에서 수입한 과일이름이고 물론 그 꽃도 관광용이다. 이 둘이 식물학적으로 많이 가깝고 어떤 경우에는 중복도 되는 모양이다. 그래서 1988년 1월에 오얏을 사어(死語) 로 규정하여 버리고, 수입한지 70년도 안되는 외래 품종의 이름을 표준어라고 정하였다. 오얏 이자(李字)란 성씨는 내가 알기만해도 한나라 무제 당시에 이광(李廣, ? ~ 기원전 119)이란 중국 전한의 장군이 있었고, 그 후 대당을 세운 이연과 이세민이 그의 후손이라고 되어있으며, 우리나라에선 이태조 이성계 역시 오얏 이씨다.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김(金)씨 다음으로 많은 성씨가 아닌가? 그러니 그 성씨가 중국과 한국에 내려온 지는 2000년이 넘었다. 이는 이씨 성에 관한 역사이며, 이 글자는 오얏이란 열매, 꽃 그리고 나무를 가리키는데, 이 나무가 나온 시는 적어도 당대에 대단히 유행하였다. 두가지 예만 들겠다. 1. 洛陽城東桃李花 飛去飛來落誰家 낙양성동도리화는, 비거비래낙수가오? 이는 劉希夷(유희이)의 작이며 그의 년도는 AD 651-?이다. 2. 桃李花開覆井欄 朱樓落日捲簾看 도리화개복정난하니, 주루낙일권렴간을. 이는 崔顥(최호)의 작으로 년도는 AD 704-754이다. 이 뜻은 복사 꽃, 오얏꽃이 피어 우물 난간을 덮고, 붉은 누각 떨어지는 해에 발을 걷고 바라보네. 주목할 점은 꽃이 만발함을 표현할 때에는 복사와 오얏꽃을 함께 썼고, 적어도 1500년 동안에 썼다는 사실이다.
![]() 李, 李子(오얏열매) ![]() 자두꽃(흰색) ![]() 자두(자주색) ![]() Kwan Ho Chung - May 31, 2016 |